찌릿찌릿 다리에 쥐 났을 때
안녕하세요. 울산 닥터적맥의원입니다.
여름철을 맞아 야외 스포츠를 하러 나온
사람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운동 중 갑자기 다리에 찌릿찌릿하며
쥐가 나 통증이 풀릴 때까지 마냥 기다려야 하는 경우가 있죠.
이처럼 쥐가 났다의 의학적 표현인 국소성 근육 경련이
생겼을 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오늘 닥터적맥의원과 알아보도록 할게요!
준비 없이 갑작스레 운동을 하거나 운동을 너무
과도하게 할 경우 종아리 근육이 갑자기 딱딱해지면서
발가락과 발목이 모두 발바닥 쪽으로 강하게 구부러지는
경련성 구축이 일어날 수 있는데요. 그래서 장거리
달리기 중에 갑자기 다리에 쥐가 나는 바람에
쓰러지기도 하고 수영 중 갑자기 쥐가 나서 더 이상
헤엄을 치지 못하고 물에 빠지는 일이 벌어지기도 하며
한 밤 중에 잦은 근육경련으로 수면장애를 겪기도 합니다.
근육경련은 종아리 근육에서 흔히 발생하지만 발바닥
근육이나 허벅지 근육에서도 나타나고 드물게는 가슴 근육,
배 근육, 어깨 근육 등에서도 나타납니다. 20~30초 정도
그렇다가 풀리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10분 이상
계속될 경우에는 며칠간 지속되기도 합니다.
근육경련의 의학적인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운동 중 땀과 입김을 통해 수분과 전해질이
몸 밖으로 다량 배출되면서 탈수와 전해질 부족 현상이
나타나고 근육 세포 내 저산소 현상 및 젖산 축적 등이
근육경련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전해질 중
특히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이 부족한 경우에
근육경련이 더 쉽게 나타납니다. 종아리 근육경련은
중년 이후 특히 여성에서 보다 빈번하게 나타나는데
이는 운동에 의해 유발되기 보다는 체내 전해질 부족
현상을 일으키는 여러 다른 원인들에 의한 경우가 많습니다.
당뇨병, 만성 신장질환, 갑상선질환, 간경화, 하지정맥류,
동맥경화증 등의 만성질환이나 임신 말기에 근육경련이
쉽게 나타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과로, 영양실조,
골다공증 약의 장기간 복용 등에서도 근육경련이 유발될 수 있답니다.
갑자기 쥐가 났을 때는 우선 긴장하지 말고 가능한
다리에서 힘을 빼야 합니다. 즉 종아리 근육에
쥐가 나면 발가락과 발목이 발바닥을 향해
강하게 뻗칠 때 발목을 발등 쪽으로 올리려고
다리 근육에 힘을 주지 말아야 합니다.
가능한 힘을 빼고 두 손으로 발과 발목을
발등 쪽 즉, 머리 쪽으로 잡아 당겨 늘려주면 경련이 풀립니다.
종아리 근육경련이 자주 나타나는 사람이라면 평소
온찜질이나 근육 마사지 등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되며
적당량의 이온음료나 소금물을 마심으로써
마그네슘, 칼륨, 나트륨 등의 전해질 보충해
주는 것도 필요합니다. 비타민B 복합제, 마그네슘
보충제를 복용하는 것도 권장되고 있으며
심한 경우 처방약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꼼꼼한 상담이 필요합니다.
이상 닥터적맥의원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아름다운 다리 > 편안한 다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름철 식중독 예방법 (0) | 2019.07.02 |
---|---|
다리 혈액순환 개선에 좋음 음식 (0) | 2019.06.28 |
근무환경에 따른 다리 건강관리 (0) | 2019.06.21 |
다리 부종 줄이는 방법 (0) | 2019.06.19 |
다리에 안 좋은 습관 (0) | 2019.06.11 |